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131

Linux) Rocky Linux OS 8.4 설치 INTRO CentOS가 2021년을 끝으로 현재 진행중인 CentOS Project를 종료하고 CentOS를 Stream으로 전환한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자세한 글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Linux) CentOS EOL 관련 이슈 CentOS EOL 선언 CentOS는 RHEL의 Clone OS인 오픈소스 리눅스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은 한동안 이슈가 된 CentOS가 EOL을 선언에 관한 내용입니다. EOL (End Of Life) EOL이라는 말이 굉장.. lilo.tistory.com 현재 클라우드들의 선택 등을 보면 CentOS의 대체 OS로 Alma Linux보다 Rocky Linux의 입지가 확고해졌습니다. Rocky Linux OS 8.4 설치 미디어(i.. 2021. 9. 12.
Linux) iSCSI Initiator 설정하기 INTRO iSCSI Target 서버 설정하는 것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Linux) iSCSI Target 서버 구축하기 INTRO 구축하기 전에 iSCSI에 대한 개념을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Linux) iSCSI란 무엇일까? iSCSI란? IP 기반으로 블록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쓰입니다. 기존에 IDC에서는 lilo.tistory.com iSCSI Initiator 설정하기 (iSCSI Client 구성하기) iSCSI Initiator와 관련된 패키지를 설치하고 데몬을 Enable 후 활성화합니다. ▶ iSCSI Initiator 패키지 설치 [root@lilo-db ~]# yum install iscsi-initiator-utils ▶ iSCSI.. 2021. 9. 11.
Linux) iSCSI Target 서버 구축하기 INTRO 구축하기 전에 iSCSI에 대한 개념을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Linux) iSCSI란 무엇일까? iSCSI란? IP 기반으로 블록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쓰입니다. 기존에 IDC에서는 SAN으로 Fibre Channel Cable(광 케이블)을 연결사고 조닝 작업을 통해 LUN을 제공하는 작업을 자주했습니다. 이 조닝 작업이 lilo.tistory.com iSCSI Target 서버 구축하기 (구성하기) 공유할 디스크를 확인합니다. [root@lilo-san ~]# fdisk -l Disk /dev/sdc: 2147 MB, 2147483648 bytes, 4194304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 2021. 9. 11.
Linux) iSCSI란 무엇일까? iSCSI란? IP 기반으로 블록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쓰입니다. 기존에 IDC에서는 SAN으로 Fibre Channel Cable(광 케이블)을 연결하고 조닝 작업을 통해 LUN을 제공하는 작업을 자주했습니다. 이 조닝 작업이 끝나면 Linux에 LUN을 제공해서 스토리지를 공유하는 작업을 많이들 합니다. 하지만 이 SAN 스위치는 초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용 문제 때문에 규모가 작은 기업 환경에서는 서버용 디스크에 IP를 이용해 SCSI 저장소를 공유하는 iSCSI가 효율적입니다. 이 역시 단점이 있습니다. SAN을 통해 서버용 스토리지를 공유하는 환경보다는 당연히 속도가 느릴테고 보통 공유 스토리지는 DB에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I/O(입출력)이 굉장히 많아서 네트워크에 영향.. 2021. 9. 10.
Linux) 사용중인 VG의 LV 삭제 요청사항 현재 "/dev/centos/LOG" LVM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삭제 작업을 요청합니다. 작업 전 확인해야될 상황은 "/dev/centos/LOG"이 마운트되고있는 Mount Point를 확인합니다. 만약, 롤백이 필요한 상황을 대비하고 싶으면 따로 백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 중간 중간에 확인하는 명령이 중요합니다. 서버 작업에서 확인 작업을 귀찮다고 하지 않으면 최악의 상황을 막을 수 없습니다. 사용중인 VG의 LVM 삭제 (Root 영역 포함) ▶ 현재 파일 시스템 현황과 Mount Point를 확인합니다. [root@lilo ~]#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devtmpfs 908M 0 908.. 2021. 9. 10.
Pacemaker) 일반 사용자 pcs 명령 사용하는 방법 pcs 명령을 일반 사용자가 사용해야 되는 이유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root 계정으로 작업하는 것을 권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클러스터 계정을 따로 분리시키려고 합니다. 관리자 입장에서 "root" 계정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아래의 작업이 유용할 수도 있습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root" 계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에게 pcs 명령 권한 부여 클러스터 리소스 제어를 위한 계정을 생성 후 클러스터 인증 그룹을 그룹으로 지정합니다. [root@lilo-ha1 ~]# useradd pcsadmin [root@lilo-ha1 ~]# passwd pcsadmin [root@lilo-ha1 ~]# usermod -a -G .. 2021. 8. 29.
Linux) TCP/UDP Port의 3가지 종류 (보안) 포트 관리 3종류 포트를 관리하는 ICANN 65,536개의 포트를 3가지의 종류로 분류합니다. 이 3가지의 분류는 IT 분야에 일을 하고있다면 무조건 숙지하고 있어야합니다. 1) Well Known Ports: 잘 알려진 포트로 SSH, FTP, HTTP, HTTPS 등의 잘 알려진 APP을 사용하기 위해 ICANN에서는 TCP/UDP 포트를 지정하였습니다. 이렇게 잘 알려진 포트는 누구나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 사용하면 보안상 좋지 않겠죠? 2) Registered Ports: 여기서는 HTTP가 Well Known Ports로 80이였다면 이를 대체하는 포트로 8080을 제시합니다. "8080" 리눅스를 다뤄보신 분이라면 익숙한 Port일 것입니다. 그리고 Mysql, MariaDB의 경우는 .. 2021. 8. 14.
WAS) WAS에 대한 이야기 (5) - WAS와 Web Server를 분리하는 이유 WAS와 Web Server를 분리하는 이유 (Web WAS 연동 이유) 구글에 검색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이유로 많이 나올 것입니다. 1) 정적과 동적 처리를 나누기 위해서 2) WAS의 Web Server 역할은 성능상 좋지 않기 때문에 사실 위의 두가지의 경우가 틀린 이유는 아닙니다. 하지만 두번째의 "WAS의 Web Server 성능이 기존의 Apache나 Nginx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사실 이렇게만 말한다면 틀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최근 Tomcat의 경우는 많은 업데이트를 거치고나서 정적 페이지 처리 기능은 사실 기존의 Web Server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성능보다는 설정에 관한 것들이 많은 동접자 처리를 처리하기에 애매한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Apache의 세션.. 2021. 7. 31.
WAS) WAS에 대한 이야기 (4) - WAS의 종류 WAS(Web Aplication Server)의 종류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솔루션을 위주로 소개하려고 합니다. 모든 솔루션들은 크게 2가지의 종류로 나뉩니다. 오픈소스이냐 상용 솔루션이냐 이 부분을 말합니다. 오픈소스 WAS Jetty, Apache Tomcat 등 다양한 솔루션들이 있겠지만 국내에서 오픈소스 WAS 솔루션은 Apache Tomcat과 WildFly을 많이 사용합니다. Apache Tomcat Apache 재단에서 기본으로 Web Server 기능을 포함한 Web Application의 역할도 하는 솔루션입니다. 이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떄문에 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솔루션의 단점은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벤더의 지원이 없다는 점입니다. 장점도 있습니다. 오랫동안 릴리.. 2021.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