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Linux

Linux) RHEL 7.x (CentOS) 설치 On VirtualBox

by LILO 2021. 4. 23.
반응형

Guest OS 생성

 

VirtualBox를 열고 Guest OS를 생성하기 위해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종류와 버전은 RHEL과 CentOS 둘 다 Red Hat 계열이기 때문에 위와 동일하게 체크합니다.

TIP: "Cent"나 "RHEL"을 치면 자동으로 Red Hat 계열로 잡아 줍니다,

 

가상 머신의 이름은 서버의 용도로 정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고 추후에 찾을 때도 좋습니다.

 

나머지는 알아서들 해주시면 되고 스토리지 용량은 30GB 이상을 잡아주는 것을 권합니다. 

 

앞으로 할 작업들은 특정 서버를 제외하고 인터넷이 안되는 "Disconnected" 환경에서 작업을 할 것이기 때문에 RPM들이 모여있는 Repository를 잡아줄 때 필요한 용량을 생각해 넉넉하게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Why Disconnected?  대부분 운영되고 있는 서버들을 보면 Disconnected인 상태가 많기 때문입니다.

 

 

 

RHEL 7.x 설치

 

 

설치 진행할 때 어떤 언어로 진행할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저는 영어로 선택하였습니다. 

 

 

 

 

타임존은 한국 기준으로 잡아주시고 KEYBOARD나 LANGUAGE 칸은 한국어도 같이 잡아줍니다.

하지만, 영어가 메인이어야 합니다.

왜 영어가 메인이어야 하나요?   운영중 에러가 뜨면 로그를 확인하는데 이는 대부분이 영어로 나오지만 한국어 설정을 해놓으면 에러가 특정한 부분이 한글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한글 에러 로그이면 해당 로그를 구글링할 때 영어가 아니면 거의 찾지 못한다고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엔지니어는 영어와 친해져야 합니다. 

 

 

 

 

Software Selection에서는 Minimal을 선택합니다.

지금은 연습을 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환경에서 직접 하나씩 하나씩 채워 가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고객의 별도 요구가 없을 경우  or  필드에서는 어떤 환경으로 설치해주나요?

리눅스 자체를 잘 모르거나 GUI를 선호 하는 환경(DB) 등을 고려해서 Server with GUI를 선택해서 System Administration Tool, Development, Java Platform 등을 선택해서 고객에게 편의를 주는 방향으로 설치합니다.

 

Minimal의 경우는 GUI가 아닌 CUI 환경이니 작업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다음은 파티셔닝 부분입니다. 

자동생성이 아닌 나중에 파티셔닝한다는 문구를 클릭해서 들어옵니다.

 

Automatically 클릭으로 자동으로 잡아주는 부분이 있지만 이를 클릭해서 만드는 것은 필드에서는 권고 드리지 않는 방법입니다.

일단 해당 파티션 부분을 최대한 고객이나 운영자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구성해야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하나씩 파티셔닝을 하면 RHEL이나 CentOS 6버전을 설치할 때 전혀 당황하지 않고 설치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습니다.

파티셔닝(Partitioning): 하나의 스토리지로 여러 Path를 만들어서 스토리지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파티션은 위와 같이 잡아줍니다. 

 

보통 Boot 파티션의 경우는 넉넉하게 1G를 잡아줍니다.

Swap은 메모리가 2G 미만이기 때문에 Physical Memory의 2배를 잡아주었습니다.

/LOG 파티션은 해당 서버의 특정 로그를 담을 생각으로 만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남은 용량은 / 파티션에 할당시켜 주었습니다.

 

RHEL이나 CentOS를 설치할 경우 swap 영역은 해당 기준에 따라 잡아주는 것을 권고합니다.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storage_administration_guide/ch-swapspace

 

그리고 파일 시스템이 xfs인 이유는 7버전으로 올라오면서 xfs라는 파일 시스템이 새로 생겼습니다.

이는 기존의 ext4보다 빠른 성능을 보여주고 16TB 이상의 단일 파일 시스템도 지원을 한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대신 xfs의 경우 확장은 가능하지만 LVM 특유의 장점인 축소까지 컨트롤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담긴 파일 시스템을 축소하는 작업을 하는 것은 Red Hat에서도 권고하지 않는 부분이기 떄문에 xfs를 써도 상관이 없습니다.

축소시 i-node와 같은 일일히 체크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고 어느 특정 부분에서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을 축소하는 작업은 권고하지 않음

 

다 설정을 해줬으면 Done을 무르고 Accept를 눌러 마무리를 짓고 Install로 설치합니다.

 

 

설치 진행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고 기다립니다.

Minimal 설치는 빠르게 진행되는 편이고 Server with Gui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위와 같이 Completed가 뜨면서 Reboot 버튼이 뜨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것입니다.

반응형

'Linux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HEL(CentOS) Host name 변경  (0) 2021.04.23
Linux) RHEL(CentOS) 7.x IP 설정  (0) 2021.04.23
Linux) VM (VirtualBox) 설치  (0) 2021.04.23
Linux) Virtual Machine Network  (0) 2021.04.23
Linux) Virtual Machine 선택  (0) 2021.04.23